가전·보일러 업계 AS기사 방문 출장비 주먹구구..최대 3배 차이
상태바
가전·보일러 업계 AS기사 방문 출장비 주먹구구..최대 3배 차이
  • 도지욱 기자
  • 승인 2015.04.09 14:43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금천구 시흥동에서 모텔을 운영중인 김 모(남 )씨는 최근 갑자기 쌀쌀해진 날씨를 대비해 보일러를 가동해 보던 중 모든 객실의 난방이 원활하지 않았다.

보일러 제조사 측에 점검을 요청하자 방문한 AS기사는 '보일러 자체에는 문제가 없고 설치상 문제'라며 설비업자를 불러 해결해야한다고 안내하고는 출장비 2만원 청구했다.

아무런 조치도 없이 출장비 2만원을 받아가는 게 맞는지 싶어 상담원에게 문의했지만  "수리 여부를 떠나 출장비는 무조건 발생한다"는 대답이었다.

김 씨는 "지출 목록을 뭐라고 체크해야 할 지 모르겠다. 그냥 와서 육안으로 보기만 하고 출장비 전액을 받아가는 게 과연 합당하냐"며 확인을 요청했다.


김 씨의 경우처럼 가전제품 방문 AS시 고장의 원인을 찾지 못했거나 제품 진단 후 수리를 거부했음에도 출장비를 내야 할까?

가전제품 제조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제품 무상보증기간이 지난 경우 대부분의 제조사들이 수리가 진행되지 않더라도 평균 1~2만원 내외의 출장비를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전업계 선두주자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평상시 1만원, 평일18시 이후 혹은 주말 수리는 1만5천원의 출장비를 받고 있었고 동부대우전자는 시간·거리와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1만5천원씩 청구했다. 

반면 위니아 만도는 기본 점검비 1만원만 받고 있어 조사 대상 제조사 중 출장비가 가장 저렴했다.

가전 다음으로 AS비중이 높은 보일러 업체 사이에서도 출장비는 대동소이했다. 경동나비엔은 제품 군마다 1~2만원 사이의 출장비용을 책정했고 귀뚜라미 보일러는 평균 1만5천원에서 2만원까지 출장비를 받고 있다.  

관련 업체 모두 '제품 보증기간'에는 별도의 출장비는 청구하지 않았다.

현재 출장비에 대해서는 별도의 규정 없이 제조사 자체적으로 책정하고 있다.

제조업체들은 출장비에 대해 "수리 여부에 관계 없이 제품을 점검하는데 발생하는 비용으로 담당기사가 '현장을 나가서 제품 점검을 마치는 작업'까지를 출장비가 발생하는 과정으로 규정한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사랑채 2016-03-07 17:45:26
봐주기만하고 출장비명목으로 돈받아간다는게 넘 부당한것 아닙니까..법제도 안에서 현명한 볍규를 하루속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