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기본 앱 40~60개, '삭제 권한달라 '부글부글
상태바
스마트폰 기본 앱 40~60개, '삭제 권한달라 '부글부글
  • 양창용 기자
  • 승인 2013.11.28 08: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갤럭시노트3' 기준 SKT 58개 최고..KT 55개, LG유플러스 46개
# 경기도 고양시 주엽동에 사는 김 모(남)씨는 올 여름 삼성전자 '갤럭시S4'를 구입했다. 구입하자마자 화면을 켠 순간 액정엔 최소 40~50여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하 앱)들이 이미 설치돼 있었다. 처음엔 중고폰인가싶어 구입처에 문의한 결과 제품 출시부터 탑재된 앱이란 사실을 알게 됐다. 앱의 상당수는 통신사와 제조사 관련 앱으로 실질적으로 김 씨가 사용하고 싶은 것은 몇 개 없었다. 그러나 지울 수도 없어 바탕화면에 어지럽게 배열해 놓을 수밖에 없었다. 어렵게 지우는 방법을 찾긴 했지만 자칫 단말기가 망가질 수 있어 포기해야 했다. 그는 "필요 없는 기본앱이 너무 많지만 삭제할 수 없어 난감하다. 메모리 차지하고 배터리도 빨리 소모되고 불편한 게 한두가지가 아니다"라고 답답해했다.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에게 '프리로드(Pre-load) 앱'이라 불리는 선탑재 앱은 눈엣가시다. 사용하지도 않은 통신사.스마트폰 제조사 앱이 수 십개 설치돼있어 여간 곤혹스럽지 않다.

먼저 기 갯수가 장난이 아니게 많다. 좁은 화면에 40~50여개가 깔려 있다보니 자신이 필요해서 다운받은 앱을 찾기가 쉽지 않다. 직접 설치한 앱을 찾기 위해 2~3번 화면을 넘겨야 하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게다가 스마트폰 저장 공간 중 상당수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자동 업데이트, 활성화 등으로 쥐도새도 모르게 배터리를 갉아먹어 많은 소비자들이 '앱 삭제 권한'을 달라는 호소가 이어지고 있다.

소비자들의 여론이 들끓자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가 지난달  '소비자에게 앱 삭제 권한을 부여하는 가이드라인'을 만들거라 발표했지만 일정을 못박지는 않은데다 제조사와 통신사의 반발도 적지 않아 실제 규정이 만들어지기 까지 적지 않은 산을 넘어야 할 전망이다.

◆ 기본 설치된 앱 수 SKT가 가장 많아 

현재 안드로이드 OS 계열 스마트폰에 기본 설치된 앱의 종류는 구글OS, 스마트폰 제조사, 통신사 앱 3가지로 분류된다. 그 중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바로 통신사와 휴대전화 제조사에서 탑재한 자사 관련 앱.

경제정의실천연합 (이하 경실련) 조사에 따르면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3'는 SKT 모델엔 총 58개, KT와 LG 유플러스 모델엔 각각 55개와 46개의 기본 앱이 설치돼있다. 그 중 OS 개발사 앱을 제외하면 45개, 41개, 32개로 전체 앱 개수 대비 69~77%를 차지하고 있다.

LG전자의 주력모델 'G2' 역시 34개(SKT), 29개(KT), 20개(LG 유플러스)의 기본앱이 설치돼 약간 적지만 근소한 수치.

선 탑재된 앱 중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자사의 일방적 홍보도구로 이용되는 통신사 앱.

 

갤럭시S4 모델을 기준으로 가장 많은 기본앱을 설치한 SKT는 자사 앱 뿐만 아니라 SK 커뮤니케이션즈(싸이월드, 싸이메라, 호핀 등), SK플래닛(티클라우드, 티맵,11번가 등), SK 브로드밴드(B tv mobile) 관련 등 계열사 앱도 상당수를 차지했다.

KT(지니, 올레만화, 올레뮤직)와 LG 유플러스(유플러스 네비게이션, 엠넷)도 자사 관련 앱이 설치돼있었지만 SKT보단 적은 수치.

제조사(삼성전자)에서 탑재한 앱(S헬스, 챗온 등)도 다수였지만 기본 기능과 관련된 앱이 많아 실질적으로 소비자들이 불만을 터뜨리는 부분은 화면 한 가득 채우는 통신사 탑재 앱이 차지하고 있다.

통신사 앱이 선탑재 되지 않고 OS 개발사 앱만 장착돼 상대적으로 앱의 개수가 절반 이하로 뚝 떨어지는 애플 아이폰은 일부에선 폐쇄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지만 소비자 입장에선 선탑재 앱이 줄어 이득을 보는 셈이다.

◆ 통신사·제조사들 입모아 "이용자 위한 서비스"...미래부 가이드라인 실효성 '갸우뚱'

지난 달 국정감사장에서 각 통신사 홍보담당자들은 선탑재 앱 삭제 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뜻을 밝혔고 현재 미래부와 통신사, 제조사 및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가이드라인 제정 논의에 착수했다.

논의돼야 할 부분은 크게 두 가지. 선탑재 앱 삭제 권한을 소비자에게 주는 것과 또 하나는 여기에 추가로 스마트폰 제조 당시부터 최소한의 앱만 탑재를 하도록 못박아 두는 것이다.

일단 통신사 측은 미래부 가이드라인에 따르겠지만 통신사 선탑재 앱이 이용자에게 손해를 끼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통신사 관계자는 "선탑재 앱 제공은 소비자에게 유익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면서 "미래부의 가이드라인 제정에 적극 참여하지만 추진과정에서 통신사에 대한 형평성 문제는 좀 더 논의가 필요하다"라고 조심스럽게 입장을 밝혔다.

선탑재 앱 삭제 권한 부여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 국감장에서도 뭇매를 맞았던 제조사 측은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기 어렵다는 원론만 되풀이하고 있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3'에 최초로 선탑재 앱 삭제 기능이 추가됐지만 아직은 신중한 상황이다.

한 제조사 관계자는 "현재 협의중이기 때문에 입장을 밝힐 수 없고 가이드라인이 윤곽을 드러낼 쯤 공식 입장을 밝히겠다"고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가이드라인 제정에 대해 칼자루를 쥐고 있는 미래부측은 양 쪽 모두를 보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앱 삭제 권한을 줌과 동시에 선탑재 앱에 대한 기준도 세워 무분별한 무임승차를 봉쇄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장하겠다는 것.

하지만 그동안 제조사와 통신사들이 선탑재 앱을 통해 자사 및 계열사 광고효과를 톡톡히 봤기 때문에 이러한 기득권을 놓고 미래부 입장에 순응할 지는 아직 미지수다.

정부 측도 현재 제조사 및 통신사와 협의 중에 있으니 좋은 쪽으로 해결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이어서 가이드라인 예상 발표 시기인 12월 말이나 내년 초쯤 정확한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